본문 바로가기
꿀팁.정보

금의 종류와 중량 계산법

by 만세군 2020. 3.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만세군 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자칫 소홀할 수 있는 금의 종류와 금의 함유별 중량 계산법 및 가격 산출에 관해 간단히 말씀 드릴께요.

골드바 이미지출처: 한국일보

 

금의 종류

어떤 분은 금은 그냥 금이지 무슨 종류가 있나 하실진 몰라도, 우리가 귀금속 이라 칭하는 종류는 다양 합니다. 귀금속 또는 귀금속 제품이란 정의는 귀금속 원소를 사용 하여 만든 각종 제품을 말하며, 귀금속 원소에는 원래 백금(Pt), 팔라듐(Pd), 오스미움(Os),루세늄(Ru), 로듐(Rh) 등의 원소가 해당 되지만 그 동안 금(Au) 과 은(Ag)도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 되어 오고 있음으로 원래의 귀금속 원소 이외에 금과 은을 추가 시켜 귀금속 또는 귀금속 원소라고 합니다.


이들 원소들은 각각 고유한 물리.화학적 특징이 있어 각종 산업 분야에 긴요히 사용 되고 있으며, 흔히 우리가 귀금속이라 알고 있는 백금, 금, 은 등은 보석 장신구에 주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다룰 것은 처음 들어 보는 귀금속 원소가 아니라 보석 장신구에 사용 되는 귀금속으로만 한정하겠습니다. 우선 귀금속의 종류는 백금.순금.은.백색금 이렇게 네가지가 있다고 보시면 될거에요.

 

  1. 백금: 예전에 어른들이 많이 애용 하던 종류로서 품위 표시는 PT 라고 합니다.
  2. 금: 잘 아시니까 긴 설명이 필요 없을 거고 표시는 캐럿이라 하고 K를 사용합니다. 순금은 24K로 표시하구요. 금제품의 품위 표시에 관해서는 윗부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3. 은: 은 의 품위 표시는 AG를 이용 합니다. 은 또한 금처럼 연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대부분 구리와 합금하여 제품을 만들지요. 그러므로 윗어른들에게 은수저를 선물 하실때는 99.9%의 은 수저는 선물하지 마세요. 조금만 힘을 줘도 곧바로 휘어져 버리거든요.(바로 잡으실려면 왕 짜증!) 잘은 몰라도 80% 선이 사용하시기엔 괜찮을 거예요.
  4. 백색금: 위에서 말씀드린것같이 금에 팔라듐과 니켈을 혼합하여 만든 합금입니다. 표시는 WG (White Gold 의 약자)로 하구요. 주로 우리나라에선 잘 사용 되진 않지만(요즘은 유행 이래서 흔히 보게 되지만)일본이나 유럽은 반드시 다이아몬드 반지나 다이아몬드관련 제품으로 애용 합니다. 이유는 다이아 몬드의 광채가 더욱 돋보이게 되거든요. 사실 어른들은 금은 누런색이 나야 한다고 믿으시고 누런색만 고집 하시지만 적어도 다이아몬드 제품을 맞추실땐 다이아몬드를 감싸고 있는 부분만이라도 백색금을 이용 하세요. 한결 세련되어 보이고 다이아몬드도 빛날겁니다.
    (노란 금에 다이아...  개인적으론 싫습니다)

 

중량 계산법

아무리 귀금속에 대해 모르신다고 해도 금의 중량은 돈. 푼. 리로 계산 되고 있다는 것은 아시죠? 그래도 혹시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 할께요. 중량이 1.24돈 이라 함은, 한돈 이푼 사리 라고 해요. 한돈은 3.75g 이구요. 열돈은 한냥이라고 하구요.....

 

그럼 금 중량 계산법에 대해 간단히 말씀 드릴께요. 우선 금 값을 계산하시기 위해선 금의 도매 시세와 소매 시세를 아셔야 해요. 금값은 매일 그날 국외 내지 국내 동향에 따라 변하거든요.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매일 각종 신문에 기재되는 국제 금시세 입니다. (경제면 오늘의 경제지표 참고)

 

다른 방법으로는 귀금속 협회에서 제공 하는 전화 자동 안내가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도표로 설명한 금 함량 표시법도 어느 정도 아셔야 하구요.

예를들어 오늘 금 시세가 한돈에 280,500원이라고 한다면 

네이버 검색 시세

물론 이 가격은 소매 시세이지만..... 예를들어 도매 시세를 한돈에 280,500이라고 한다면,

 

Q. 18K, 2.35돈 짜리 반지를 구입 하는데 순수 금값은 얼마 정도 드는지를 계산 할려면?

A. 2.35(금중량) x 0.75(금함량-18K는 75%) x 280,500(금 시세) = 494,381원

 

Q. 14K 2.35돈의 순수 금값은?

A. 2.35(금중량) x 0.585(금함량) x 280,500(금시세) = 385,617원


Q. 그렇다면 순금은?

A. 금 중량  x  금 시세 = 금 값


이해가 되시나요? 아마 쉽게 이해가 되시리라 봅니다.

 

하지만 이외에 조금 다른 계산법이 있어요. 무슨 계산법 이냐면 주로 나까마(중간 유통 상인)라고 불리는 분들의 계산법 인데(물론 그 분들도 물품을 받아오는 공장에서 부터 시작되는...) 

예로 14K 함량은 분명히 58.5% 이기 때문에 0.585로 곱해야 하지만 세공 하는 과정에서 가루가 되어 사라져(?) 버리는 금을 포함해서 64.35%(0.6435)로 계산 합니다. (18K 는 0.825 = 82.5%) 이러한 계산법은 귀금속점에서도 통용되고 있음을 아셔야 될 거에요.


물론 되 팔때 14K를  0.6435(64.35%)로 계산해 주진 않아요.
반드시 0.585(58.5%)로 계산하지.....요 ㅜㅜ

  
Q. 이러한 계산법으로 다시 한 번 계산을 해 보면

A.

  • 18K 2.35돈: 2.35 x 0.825  x 280,500 = 543,819원(위 계산법과의 차액: 49,438원)
  • 14K 2.35돈: 2.35 x 0.6435 x 280,500 = 424,179원(위 계산법과의 차액: 38,562원)
  • 순금은 같음.

갑자기 복잡해진 것 같지만 이러한 계산법이 일반적으로 통용 되고 있다는 사실만 아셔도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그럼 지금 부터 주위의 귀금속을 모아서 저울이 있다면 금값을 계산해 보세요. (물론 심심 하시면 시간 땜빵으로.....) 그런데 귀금속에는 금 말고도 여러가지(보석류 등..)가 더 붙어 있죠? 그럼 완제품의 소매(시중가)가격을 산출해 보도록 하죠. 귀금속(완제품)의 소매가격 산출 방법에 대해 말씀 드리자면,

 

금중량 x 금함량 x 금시세 + 보석가격 + 공임 + 이윤 = 귀금속 가격

 

이라는 계산법이 나오게 되는 거죠.

이젠 아시겠지요?

그러므로 귀금속을 사실 땐 금값과 보석류의 값만 아신다면 대강의 원가 산출은 가능해 집니다.

 

호갱되지 맙시다~ ㅋ

 

 

반응형

댓글